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1뎁스 2뎁스 3뎁스 현재 페이지

한국직업전망

직업·진로 직업정보 한국직업전망
분류별 검색 > 문화예술 > 방송작가
방송작가

일자리 전망

상세내용 하단 참고

향후 10년간 방송작가의 취업자 수는 다소 감소할 것으로 전망된다. 「2019-2029 중장기 인력수급전망」(한국고용정보원, 2020)에 따르면, 작가는 2019년 약 23천 명에서 2029년 약 29천 명으로 향후 10년간 6천 명(연평균 2.2%) 정도 증가할 것으로 전망된다. 그러나 인터넷 미디어가 다양해지고 발전함에 따라 지상파방송, 유선방송을 비롯한 방송산업이 위축되고 있어 방송작가의 취업자 수는 다소 감소할 것으로 전망된다.

상세내용 하단 참고
방송산업 매체별 사업자 수
구분 2010 2011 2012 2013 2014 2015 2016 2017 2018 2019 전체 사업자 수 451 446 429 425 451 435 403 423 420 404 지상파방송 73 72 72 72 72 71 71 70 70 70 유선방송 194 191 172 161 157 143 139 136 132 123 위성방송 2 2 2 1 1 1 1 1 1 1 방송채널 사용사업 179 178 180 188 193 191 164 169 172 171 IPTV 3 3 3 3 3 3 3 3 3 3 IPTV 콘텐츠 제공 (CP) - - - - 25 26 25 44 42 36

자료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방송통신위원회(2020). 2020년 방송산업 실태조사 보고서.

상세내용 하단 참고
방송산업 직종별 종사자 수
조사 년도 전체 임원 경영 방송직 기술직 연구직 영업 홍보 용역 계약 기타 기자 PD 아나 운서 제작 관련 기타 2010.12. 29,878 936 4,772 3,279 4,054 727 3,387 1,205 4,579 372 4,371 - 2,196 2011.12. 32,443 784 5,562 3,660 4,573 782 3,874 1,561 4,482 368 4,383 - 2,414 2012.12. 33,888 817 5,307 3,794 4,514 784 4,217 1,787 4,570 281 4,546 - 3,271 2013.12. 34,714 769 5,420 3,792 4,634 750 4,037 2,332 4,682 486 4,861 - 2,951 2014.12. 34,615 785 5,635 3,798 4,550 755 4,581 2,250 4,284 539 5,340 - 2,098 2015.12. 35,096 771 5,578 3,992 4,724 730 4,766 1,855 4,215 404 5,439 - 2,622 2016.12. 35,992 763 5,926 4,000 4,628 717 4,745 2,105 4,362 432 5,392 - 2,922 2017.12. 36,815 809 6,120 4,225 4,822 708 4,843 2,021 4,243 503 6,048 - 2,473 2018.12. 37,288 744 6,053 4,074 4,921 694 4,884 2,197 4,239 965 6,245 - 2,272 2019.12. 37,553 540 6,010 4,057 4,935 678 4,849 2,051 4,290 469 6,206 - 3,210 주1) ‘-’ 표시는 해당연도의 조사항목에 없는 직종임 주2) 방송직의 ‘경영직’은 인사, 재무/회계, 기획, 경영, 관리 등의 사무관련 업무를 담당하는 인원(2013년 방송산업 실태조사 ‘관리/행정직’의 명칭 변경) 주3) 방송직의 제작 관련에는 카메라, 영상, 음향, 조명, 미술, 편집, 출연자 등의 업무를 담당하는 사람이 포함된다. 주4) 방송직의 기타에는 성우, 작가, 리포터, 제작지원 등의 업무를 담당하는 사람이 포함된다.

자료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방송통신위원회(2019), 2019년 방송산업 실태조사 보고서.

방송사업자 수는 2010년에 451개에서 2019년 404개로 감소추세에 있으며, 방송작가가 포함된 방송직 기타의 종사자 수는 2013년에 2,332명으로 최대였으나 점차 감소추세에 있다. 지상파와 종합편성채널이 경쟁적 구조를 갖추면서 제작 방송프로그램 수가 늘어나며 방송작가의 수가 증가했던 현상이 정체 상태에 이르렀다. 개인이 콘텐츠가 되는 인터넷 방송이 늘어남에 따라 공중파 및 유선 방송에 관한 관심이 떨어지고 있으며, 라디오 프로그램의 감소도 방송작가의 고용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다.

상세내용 하단 참고

관련 직업

시인,소설가,영화시나리오작가,카피라이터,작사가,게임시나리오작가 등

분류 코드

한국고용직업분류(KECO) : 4111

한국표준직업분류(KSCO) : 2811

관련 정보처

(사)한국방송작가협회 (02)782-1696 www.ktrwa.or.kr

한국문화예술위원회 (061)900-2100 www.arko.or.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