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1뎁스 2뎁스 3뎁스 현재 페이지

한국직업전망

직업·진로 직업정보 한국직업전망
분류별 검색 > 경영·회계·사무 > 관세행정사무원
관세행정사무원

일자리 전망

상세내용 하단 참고

향후 10년간 관세행정사무원의 취업자 수는 현 상태를 유지할 것으로 전망된다. 그동안 관세직 공무원의 선발인원은 2016년 190명, 2017년 165명, 2018년 155명, 2019년 194 명으로 소폭의 감소추세를 보이다가 2020년에는 68명으로 대폭 감소하였다.

상세내용 하단 참고
연도별 수출입 규모
연도 2012 2013 2014 2015 2016 2017 2018 2019
수출 547,870 559,632 572,665 526,757 495,466 573,697 604,860 542,233
수입 519,584 515,586 525,515 436,499 406,193 478,478 535,202 503,343

자료 : 한국무역협회, 무역통계정보시스템

관세직 공무원의 업무와 관련성이 높은 수출입 규모 역시 최근 주춤한 상태이고 저성장, 경기침체가 장기화될 경우 소비위축, 생산을 위한 자재이동이 감소됨에 따라 통관업무도 줄어들 가능성이 있다. 더욱이 통관 관련 전산화시스템이 점차 고도화되는 것은 향후 관세행정사무원의 지속적인 고용증가에 부정적 영향을 미칠 수도 있을 전망이다. 하지만 전반적으로 급격한 고용변화보다는 현 상태를 유지하는 수준일 것으로 예상된다. 참고로, 2020년 관세직 공무원(국가직)의 경쟁률은 45.41 대 1로 2019년 24.85 대 1보다 상승하였다.

상세내용 하단 참고

관련 직업

관세사, 회계 및 경리사무원, 조세행정사무원, 행정공무원

분류 코드

한국고용직업분류(KECO) : 0252

한국표준직업분류(KSCO) : 3112

관련 정보처

관세청 125 www.customs.go.kr

한국관세사회 (02)547-9714 www.kcba.or.kr

한국무역협회 1566-5114 www.kita.ne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