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1뎁스 2뎁스 3뎁스 현재 페이지

직업 동영상·VR

직업·진로 직업정보 직업 동영상·VR

유엔세계 식량계획 WFP (World Food Programme)

NA)
만약 전 세계에서 굶주림이 사라진다면
어떤 세상이 펼쳐질까요? -> 기아를 굶주림으로 대체

들판에는 곡식이 무르익고,
강에는 물고기들이 가득한,
풍요로운 세상이 펼쳐질 것입니다.

이 그림을 그린 새미는
콩고에 살고 있는 열 세 살 난 소년입니다.

새미가 하루에 먹는 유일한 끼니는
학교 급식 뿐입니다.

하지만 새미는 작은 나눔에 감사해하며
건강한 마음으로 자라고 있습니다.

새미처럼 매일 배고픈 상태로 학교에 가는
개발도상국 어린이들이 6천 6백만 명!

영양 부족으로 인해 발육이 멈춘
개발도상국의 저체중 인구 수는 무려 1억 명!

A)
매일 밤 8억 명의 사람들이 배고픈 상태로 잠이 듭니다

NA)
굶주림을 겪고 있는 사람들에게 가장 필요한 것은
적절한 시각에, 적절한 식량을 전달받는 것입니다.

A)
WFP가 존재하지 않는다면, 국제사회가 기아 퇴치를 이룩하기 위한,
한 가지 무기를 잃게 될거에요.

NA)
가난과 기아로 고통 받는 사람들을 위해
지구상의 가장 위험하고 험난한 최전방에서
구호 활동에 애쓰는 유엔기구, <유엔세계식량계획-WFP>입니다.
2016 내일을 잡아라 - 유엔세계식량계획 WFP

※ MC / STUDIO)
지난 2000년부터 15년간, 국제연합-UN은 전 세계의 빈곤퇴치 운동을 내세운
“새천년개발목표”를 성공적으로 이끌었습니다.
그리고 이제 2030년까지 새롭게 실천해야 할 목표로 “지속가능개발계획”을 발표했는데요.
이중 두 번째로 선정된 목표가 바로 “제로 헝거 챌린지(Zero Hunger Challenge)”
즉 기아 퇴치 캠페인입니다. 우리 세대에 기아를 퇴치한다는 뜻의
“제로 헝거”는 곧 <유엔세계식량계획-WFP>의 사명이기도 합니다.
기아 퇴치를 위한 국제연합-UN의 최전방 기관으로서 ‘제로 헝거 챌린지’를
선도하고 있는 <유엔세계식량계획-WFP>를 만나보시죠.

NA)
오랜 세월, 서양 문명의 중심이자 고대 유적과 중세 문화의 찬란함이 현대와 공존하는 도시,
이탈리아의 수도 로마에 <유엔세계식량계획-WFP>의 본부가 있습니다.

A)
WFP는 1961년에 모든 남성, 여성, 어린이가 건강하고 활동적인 삶을 누릴 수 있도록
항상 식량에 접근할 수 있어야 한다는 일념으로 설립 되었습니다.
(00:08:42~00:08:58) Yes, so born in 1961, WFP pursues a vision every men,
every women and every child has the access to food at all times in order
to achieve healthy and active life.

NA)
<유엔세계식량계획-WFP>는 World Food Program 즉, 세계식량계획의 약자인데요.
원래는 국제식량농업기구-FAO가 식량이 풍부한 지역의 과잉식량을 기아와 빈곤에 시달리는 지역에
분배하기 위해 수행했던 프로그램이었습니다. 전 세계적으로 식량 지원이 급박했던 1961년,
FAO의 주도로 <유엔세계식량계획-WFP> 설립이 추진됐고, 그해 11월과 12월, 유엔 총회와
국제식량농업기구(FAO)의 결정에 의해 UN 산하 식량 원조 기구로 설립됐습니다.

NA)
UN의 식량 관련 기구하면 <유엔세계식량계획-WFP> 외에 국제연합식량농업기구 FAO와
국제농업개발기금 IFAD를 빼놓을 수 없는데요. 로마에 본부를 두고 있는 이 세 기구는
‘전 세계 기아 퇴치’를 목표로 하고 있지만 주력 분야는 각각 다릅니다. <유엔세계식량계획-WFP>가
주로 인도적 위기에 긴급 식량공급을 담당한다면, 국제연합식량농업기구-FAO는 농업 관련 기술 개발 및 지원,
국제농업발전기금-IFAD는 국제 재정을 조달 담당하고 있습니다.
NA)<유엔세계식량계획-WFP>는 유엔 내에서 식량과 관련된 운송과 긴급구호를 위한 통신,
그리고 전 세계적인 이슈인 식량 안보 세 가지 분야를 담당하는 기구인데요.
그들의 주요 임무는 무엇인지 <유엔세계식량계획-WFP> 담당자에게 직접 들어보시죠.

A)
최대 규모의 인도 기구로서, WFP는 각국 정부, 다른 UN 기관, NGO,
민간 기업과 파트너십을 통해 비상위기에 대응합니다.
WFP는 네 가지 주요 활동을 합니다. 비상위기활동, 장기구호활동, 특별활동, 개발활동을 합니다.
비상위기가 발생하면,
위기 발생 후 24~48시간 내에 신속히 WFP가 식량 필요 계획을 수립하고 피해자들에게 최선의 방식으로
식량을 전달할 수 있는 방법을 수립합니다...
현재 5,000개 이상의 NGO들과 파트너십을 통해 전 세계로 WFP의 식량을 이동하기 위한 20척의 배,
70대의 비행기, 5,000대의 트럭을 보유하고 있습니다.

(00:07:11~00:07:25) As the largest humanitarian organization,
we continuously respond to emergencies and we do that in partnership with governments,
other UN agencies, NGOs, companies in private area.
(00:11:30~00:11:44) WFP has four types of main operations, emergency operations,
the protracted relief and recovery operations, the special operations and the development operations.
(00:11:52~00:12:06) So, when an emergency strikes, WFP has to quickly establish within 24 to the first of 48 hours,
the food needs, and how we can deliver in the best ways to the affected populations
(00:08:21~00:08:35) As for now, we do have 20 ships,
70 aircraft and 5,000 trucks that move WFP food around the world with partnerships of more than 5,000 NGOs.

NA)
그밖에도 다양한 개발 지원 사업을 수행하고 있는데요.
해마다 2천만 명 이상의 학교 어린이들에게 식사를 제공하는 학교 급식 프로그램,
노동력의 대가로 식량을 제공하는 'Food for Assets'(취로사업) 프로그램,
이와 비슷하게 수입을 얻도록 양봉, 재봉, 읽고 쓰기와 같은 능력을 키워주는
'Food for Training' 프로그램 등 식량을 지렛대로 주민의 자립을 유도하는
많은 프로그램을 진행하고 있습니다.


NA)
한편, <유엔세계식량계획-WFP> 역시 국제연합식량농업기구, FAO와 마찬가지로 우리나라와 오랜 인연을 갖고 있습니다.

A)
WFP와 한국과의 관계는 1964년으로 거슬러 올라갑니다. 50년 이상의 역사를 갖고 있죠.
당시 WFP는 한국에 2번째로 많이 식량 원조를 하여, 전쟁 중, 전쟁 후에 한국을 도왔습니다.
(00:10:24~00:10:31) Yes.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WFP and the Republic of Korea goes back to 1964,
so more than 50 years.
(00:10:37~00:10:49) And at that time, the WFP was the second largest food assistance provider in the country,
helping the Republic of Korea during the war and after the war.

※ MC / STUDIO)
<유엔세계식량계획-WFP>는 우리나라의 경제 발전 경험을 전 세계 수십억 명에게
나누어주고 싶다고 합니다.
실제로 우리나라의 새마을 운동을 모델로 한 사업이 몇몇 개발도상국에서 진행 중이고
많은 성과를 거두었다고 하는데요.
앞으로는 우리의 인재들이 <유엔세계식량계획-WFP>로 가서 더 많은 경험을
나눌 수 있게 됐으면 좋겠습니다.
그러기 위해선 <유엔세계식량계획-WFP>는 어떤 일을 하는 사람들이 모여 있는 곳인지를 알아야겠죠?
다시 로마로 가봅니다.

NA)
<유엔세계식량계획-WFP>의 업무는 크게 분쟁이나 재해 지역과 같은 현장에서의 업무와 본부나
각국 사무소에서의 업무로 나뉘는데요.
현장에서는 수송, 식량 지원, 구호물자 및 생필품 저장관리,
수혜자들에 대한 영양 교육 등이 주요 업무이고,
본부나 각국의 사무소에서는 식량을 얻기 위한 재원 마련, 물품과 서비스 조달, 전 세계의
식량 안보 상태 조사 및 데이터 구축,
영양 강화 식품 개발 등의 업무를 맡게 됩니다. 하지만 현장 중심적인 기구이기 때문에
의무 순환 근무제에 따라 근무지를 옮겨 다니며 근무한다고 합니다.
<유엔세계식량계획-WFP>는 현재 92개국에 사무소가 있고,
80개국에서 활동하고 있습니다.


A) 현재 WFP에서 근무하는 인력은 11,500명 이상이며, 그 중 93%가 현장에서 근무합니다.
(00:08:00~00:08:10) Currently, there are more than 11,500 people working for WFP, which 93% are based on the field.

A) 시리아, 이라크, 중앙아프리카 공화국과 같은 전 세계의 분쟁지역이나 지진이 발생한 네팔,
태풍이 발생한 필리핀처럼 자연재해지역과 같은 굉장히 힘든 환경에서 우리 직원들은 일하고 있어요.
(00:01:09~00:01:24) They work in very difficult locations in the world whether that
is a conflict zone of the world like Syria,
Iraq or Central Africa Republic but also where there has been a natural disaster
like Nepal earthquake, typhoon in the Philippines a couple of years ago.

우리 직원들은 다양한 배경을 갖고 있어요.우리에게 필요한 전문기술의 종류도 다르지요.
(00:02:51~ 00:02:53) Our workforce is very diverse.
(00: 02:59~00:03:03) We need many different skill sets

A)
WFP는 영양, 조달, 물류, 식량안보, 분석 등 폭넓은 분야에 걸쳐 전문성을 개발하고 있습니다.
(00:08:10~00:08:21) WFP also develop an expertise in a wide range of areas including nutrition, procurement,
logistics and food security and analysis.

NA)
그렇다면 구체적으로 어떤 인재들을 필요로 하는지 <유엔세계식량계획-WFP>P 본부의 인사담당관에게 들어볼까요?

A)
WFP 직원 선발 시 가장 중요한 기준은 머리, 가슴, 용기의 세 박자를 갖추는 것입니다...
머리, 가슴, 용기의 세 덕목을 갖춰야 하는 이유는 무엇인가.
먼저, 머리는 영양학, 물류, 공급망, 식품공학,
또는 재무, HR 등 종류를 망라하고 필요한 모든 전문성, 기술을 갖춰야 함을 뜻합니다.
우리가 돕는 사람들에게
변화를 가져오기 위해서는 연민을 가져야 하는데, 그게 가슴이죠. 용기도 필요합니다.
우리가 돕는 사람들은 힘든 상황에 있기 때문에,
그 현장에 직접 가서 그 곳에서 변화를 이끌어내려면 용기가 있어야 하죠.
그래서 머리, 가슴, 용기의 세 덕목을 갖춰야 합니다.
(00:04:25~00:04:33) The most important criteria in hiring staff for WFP
is the combination of head, heart and courage.
(00:04:44~00:05:02) Why it is the combination of head, heart and courage is
that head for all the professional expertise, the skills,
whether it is a nutritionist, logistician, supply chain, food technologist,
there are many many different functions, finance, HR, that is the head.
(00:05:02~00:05:08) The heart, to have the compassion to really make a
difference for the people we serve.
(00:05:08~00:05:13) And the courage.
Because the people we serve are in difficult situations.
(00:05:13~00:05:18) So you have to have the courage to go there,
to be present in the field and make a difference there.
(00:05:18~00:05:20) So head, heart, and courage.

NA)
특히 <유엔세계식량계획-WFP>가 필요로 하는 대표적인 전문 분야는 세 가지인데요.
첫 번째, 복구와 재건 같은 개발 분야 전문가, 두 번째, 구호 물자의 분류와 빠른
공급을 위한 물류&수송 분야 전문가, 세 번째, 영양에 대한 해박한 지식을 갖춘 영양 분야 전문가입니다.


※ MC / STUDIO)-국제기구 진출 경로
인사담당관을 통해 <유엔세계식량계획-WFP>의 지원 조건과 경로를 들어봤는데요. 여기서 잠깐,
현재 우리나라에서 국제기구로 진출할 수 있는 경로를 알아볼까요?

첫 번째, 국제기구별 공석공고를 통해 개별적으로 지원하는 방법인데요. 필요한 보직의 직무 내용,
응모자의 자격 요건 등이 표시된 ‘공석공고’는 국제기구 채용 홈페이지에서 정보를 얻으실 수 있습니다.

두 번째는 국제기구 초급 전문가(JPO: Junior Professional Officer) 과정을 통하는 방법인데요.
JPO란 정부가 비용을 부담해, 유엔 및 관련 국제기구 사무국에 1-2년간 수습 직원으로 파견하는 제도입니다.

세 번째는, 유엔 및 국제기구에서 운영하는 젊은 전문가 프로그램,
YPP(Young Professionals Programme)인데요.
회원국들의 분담금에 따른 지리적 배분 원칙을 적용해서 국제기구 진출이 없거나
진출이 적은 나라의 국민을 대상으로 실시하는 프로그램입니다.

다음은 인턴쉽 프로그램에 지원하는 방법입니다. 국제기구마다 필요에 따라 인턴을 선발하고 있고요,
인턴기간은 3개월에서 6개월 정도입니다.

마지막으로 유엔자원봉사단(UNV : UN Volunteers)에 참여해서 해외 봉사 경험을 쌓는 방법도 좋은 기회가 될 수 있습니다.

(pause)
국제기구로 진출하는 여러 가지 방법을 알아봤는데요. <유엔세계식량계획-WFP>의 경우, 자원봉사자나
인턴으로 활동하다가 입성하는 직원들이 적지 않다고 합니다.
그럼 이번에는 <유엔세계식량계획-WFP>로 진출한 한국인 직원을 만나볼까요?

현재, 로마 본부에서 근무하고 있는 한석진씨입니다.

① 자기 소개
저는 <유엔세계식량계획-WFP> VAM이라는 팀에서 일하고 있는 한석진이라고 합니다.

② 담당하고 있는 업무
저희 팀에서 하는 일은 세계 식량 안보 상태를 조사하는 일입니다... 식량안보라고 함은 모든 사람이
국적, 성별, 교육수준, 어떠한 상태에 상관없이 건강한 식량에 접근할 수 있고
충분한 영양을 섭취할 수 있는 상태를 의미합니다.

NA)
한석진씨는 현재, <유엔세계식량계획-WFP>의 수혜국을 결정하는데 중요한 기준을 마련하는 일을 하고 있는데요.
이 자리에 오기까지 어떤 준비 과정을 거쳤고 어떤 노력을 했을까요?

한) 저는 원래 사기업에서 일을 하고 있었습니다. 근데 이게 정말 저에게 맞는 길인가 고민하고 있다가
휴가를 내고 캄보디아로 봉사활동을 다녀왔습니다.

NA)
10대 시절, 중국에서 미국 학교를 다니며 영어와 중국어를 터득했던 한석진씨.
여러 나라의 친구들과 함께 생활하면서
다양한 나라 사람들과 일하고 싶다는 꿈을 갖게 됩니다.
대학에서 경영학을 전공한 그는 민간기업에서 근무했지만
2년 후 퇴사를 하고 국제대학원에 입학해 인생의 전환점을 마련합니다.
특히 캄보디아에서 봉사활동을 하며
인류를 돕는 일을 하겠다는 목표를 갖게 된 한석진씨. 그 후 <유엔세계식량계획-WFP>
한국사무소 인턴으로 활동하면서
본격적으로 국제기구 진출을 준비, 몇 년 간 JPO 시험에 도전과 실패를 거듭한
끝에 합격해 그토록 바라던 국제기구에 입성하게 됩니다.

➂ 국제기구 초급전문가(JPO) 합격 Tip?
제가 드릴 수 있는 팁이라면 각자 이슈들에 대한 레포트를 작성할 때 이 이슈가 일어나게 된 발단,
이 이슈를 통해서 어떤 법적인 조치가 마련이 됐다면 그것에 대한 법적 의의, 국제사회라는 건 이상주의와
현실주의가 부딪치고 있기 때문에 과연 양측에서 논란의 여지는 없는지 각 이슈별로 부각시켜 공부했습니다...
이 분야에 대해서는 누구보다 잘 알고 있다는 식으로 준비하면 도움이 될 것 같습니다.

④ 국제기구 근무에 적합한 언어 수준은?
국제기구에서는 영어를 네이티브 수준으로 발음이 좋거나 아니면
유려하거나 이럴 필요는 없구요. 단지 자기 하고 싶은 얘기를 충분히 표현할 수 있고
그 언어로 일을 할 수 있으면 되는 것 같습니다.


➃ 현장 근무에 따른 어려움?
WFP같이 현장에 집중하는 직장의 경우 몇 년 후에 자신이 어디에서 근무하게 될지
모르는 점이 애로사항이라 할 수 있습니다.
저 같은 경우는 이미 알고 있었고 현장에서도 많이 일하고 싶은 결심 하에
왔기 때문에 큰 어려움이라고 생각하고 싶진 않습니다.

※ MC / STUDIO)-한국인 직원의 채용과정 정리
(⇩ 브릿지 멘트 수정했습니다.)
이처럼 한석진씨는 오랫동안 자신의 목표에 맞게 계획을 세우고
누구보다 착실하게 준비해왔기에
<유엔세계식량계획-WFP> 진출이라는 꿈을 이루게 되었습니다. 그가 자신처럼
국제기구 진출을 목표로 하는
후배들을 위해 꼭 해주고 싶은 이야기는 무엇인지 들어볼까요?

팁2) 어려서부터 고민하고 구체적인 목표를 가져라
한) 국제기구에 진출하고 싶은 꿈이 있다 이러면... 구체적인 고민을 어려서부터 많이 했으면 좋겠습니다.
예를 들어 국제기구에 가고 싶으면 어느 기구에 가고 싶다 왜 가고 싶다 이 기구에서 필요한 내 역량은 무엇이다
나는 어떠한 언어를 공부하고 어떠한 스페셜티를 갖고 국제기구에서 어떠한 일을 하고 싶다 구체적인 꿈을 세우면
향후에 준비하는데 큰 도움이 되고 자기의 역량도 많이 발전할 수 있다고 생각합니다.

NA)
<유엔세계식량계획-WFP>에서 12년째 근무하며 위험한 현장과 여러 나라의 지역 사무소를 거쳐 지금은 본부에서
재무국 선임행정관으로 일하고 있는 콜롬비아인 안드레스 로드리게스씨! 그도 한석진씨와 마찬가지로
목표를 갖고 도전하라고 조언합니다.

A)
저는 언제나 2년~3년 계획의 목표를 세우고, 그 목표를 절대 잊지 않으려고 노력합니다.

(00:15:45~00:15:51)Okay. I always set two to three year goals and try never to lose sight of them.
(00:17:09~00:17:14) Never lose sight of that goal and always pursue it, irrespective of what others can tell you.

※ MC / STUDIO)
지금까지 만나본 <유엔세계식량계획-WFP>의 직원들은 진정으로 자신의 일을 사랑하고
전 세계가 봉착해있는 식량 위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최선을 다하고 있었습니다. 개인이 아닌 우리 라는 인식을 토대로 맡은 바 업무에 충실한
이들이야말로 진정한 의미의 세계인이란 생각이 드는데요.
어쩌면 이것이 <유엔세계식량계획-WFP>가 추구하는, 나아가
우리가 목표로 삼아야 될 인재상이 아닐까요?
여러분 중에 식량 위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내가 무엇을 할 수 있을까
고민하는 분들 계시다면 지금부터
<유엔세계식량계획-WFP>의 미래에 동참하기 위한 노력을 해보는 건 어떨까요?
담당부서 : 미래직업연구팀
담당자 : 이승철(1577-71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