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장 및 항해사 | 영업·판매·운전·운송직 > 항공기·선박·철도 조종사 및 관제사 > 선장 및 항해사

하는 일

교육/자격/훈련

    선장 및 항해사가 되기 위해서는 해양수산부가 지정한 교육기관인 관련 고등학교 및 대학교를 졸업하면 유리하다. 상선 해기사를 양성하는 기관은 한국해양대학교, 목포해양대학교, 부산해사고등학교, 인천해사고등학교가 있으며, 어선 해기사를 양성하는 기관은 수산관련 대학교(부경대, 제주대 등 6개교) 및 해양관련 고등학교(인천해양과학고, 울릉고 등 9개교)가 있다. 해양대학이나 수산관련 대학의 관련 학과를 졸업하면 각각 상선 혹은 어선 분야 항해사 또는 기관사 3급 자격시험에 응시할 수 있다. 또한, 해사고등학교나 해양관련 고등학교를 졸업하면 각각 상선 혹은 어선 분야의 항해사 또는 기관사 4급 자격시험에 응시할 수 있다. 취업한 항해사와 기관사는 안전교육 및 직무교육을 이수하여야 한다.
  • 관련학과
    • 해양공학과 등이 있습니다.
  • 관련자격
    • 해기사(국가전문)
  • 훈련정보
    • 선장, 항해사 및 도선사

임금/직업만족도/전망

  • 임금
    • 하위(25%) 4,800만원, 중위값 5,594만원, 상위(25%) 6,500만원
      위 임금정보는 직업당 평균 30명의 재직자를 대상으로 실시한 설문조사 결과로, 재직자의 자기보고에 근거한 통계치입니다. 재직자의 경력, 근무업체의 규모 등에 따라 실제 임금과 차이가 있을 수 있으니, 직업간 비교를 위한 참고자료로 활용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 직업만족도
    • 72.5%
  • 일자리전망
    • 감소 (55%), 현상유지 (19%), 증가 (26%)
  • 일자리현황
    • 선장 및 항해사

능력/지식/환경

  • 업무수행능력
    • 반응시간과 속도 / 장비의 유지 / 움직임 통제 / 조작 및 통제 / 조직체계의 분석 및 평가
  • 지식
    • 운송 / 지리 / 안전과 보안 / 통신 / 물리
  • 업무환경
    • 움직이는 기계 / 극단적으로 밝거나 부적절한 조명 / 건강 및 안전에 대한 책임 / 결과에 대한 책임 / 장비 속도에 보조 맞추기

성격/흥미/가치관

  • 성격
    • 적응성/융통성 / 리더십 / 책임과 진취성 / 성취/노력 / 자기통제
  • 흥미
    • 현실형(Realistic) / 관습형(Conventional)
  • 직업가치관
    • 자율 / 다양성 / 성취 / 애국 / 경제적 보상
  • 관련직업
    • 항공기조종사
    • 헬리콥터조종사
    • 선박기관사
    • 철도·전동차기관사
    • 항공교통관제사
    • 선박교통관제사
    • 철도교통관제사
    • 신호원 및 수송원

업무활동

  • 업무활동 중요도
    • 자료가 존재하지 않습니다.
  • 업무활동 수준
    • 자료가 존재하지 않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