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작가 및 사진사 | 예술·디자인·방송·스포츠직 > 창작·공연 전문가(작가, 연극 제외) > 사진작가 및 사진사

하는 일

교육/자격/훈련

    사진가가 되기 위해 요구되는 특별한 자격이나 학력은 없지만, 점차 전문적인 교육을 받고 관련 분야로 진출하는 경우가 늘고 있다. 교육기관으로는 예술고등학교와 대학의 사진 관련 학과, 사진가를 전문적으로 양성하는 사설 사진학원, 그리고 사진 강좌를 개설하는 문화센터, 사회교육원 등이 있다. 대학의 관련 학과에 진학하면 사진학개론, 사진기기론, 디지털사진론 등의 이론적 교육과 사진촬영과 관련된 각종 실기교육을 받을 수 있고, 사설학원에서는 광고, 패션, 인상 등 전문 분야의 사진 기술을 배울 수 있다. 신문사나 잡지사, 광고사, 일반 기업체의 홍보부서 등에서는 전공 제한은 없어도 대졸자 또는 전문대졸 이상으로 학력을 제한하는 경우가 있다. 각종 사진콘테스트에 입상 경험이 있으면 사진가로 인정받을 수 있으며 취업 시에도 매우 유리하다. 또한, 디지털카메라의 사용이 증가함에 따라 컴퓨터를 이용한 사진편집기술을 갖추어 놓으면 작업하는 데 편리하다. 사진가 중에는 사진관이나 스튜디오를 직접 운영하는 경우가 많은데 이를 위해 마케팅, 경영, 영업, 회계 등에 관한 지식을 쌓아 놓는 것도 필요하다.
  • 관련학과
    • 사진·영상예술학과 , 정보미디어학과 , 패션디자인학과 등이 있습니다.
  • 관련자격
    • 사진기능사(국가기술)
  • 훈련정보
    • 사진작가 및 사진사

임금/직업만족도/전망

  • 임금
    • 하위(25%) 3,108만원, 중위값 3,522만원, 상위(25%) 4,000만원
      위 임금정보는 직업당 평균 30명의 재직자를 대상으로 실시한 설문조사 결과로, 재직자의 자기보고에 근거한 통계치입니다. 재직자의 경력, 근무업체의 규모 등에 따라 실제 임금과 차이가 있을 수 있으니, 직업간 비교를 위한 참고자료로 활용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 직업만족도
    • 71.1%
  • 일자리전망
    • 감소 (80%), 현상유지 (17%), 증가 (3%)
  • 일자리현황
    • 사진작가 및 사진사

능력/지식/환경

  • 업무수행능력
    • 창의력 / 시력 / 장비 선정 / 선택적 집중력 / 작동 점검
  • 지식
    • 예술 / 디자인 / 영업과 마케팅 / 컴퓨터와 전자공학 / 사회와 인류
  • 업무환경
    • 치열한 경쟁 / 사물, 도구, 조종 장치를 다루기 위해 손사용 / 장비 속도에 보조 맞추기 / 균형을 유지하기 / 정확성, 정밀성 유지

성격/흥미/가치관

  • 성격
    • 독립성 / 혁신 / 스트레스 감내성 / 자기통제 / 인내
  • 흥미
    • 예술형(Artistic) / 탐구형(Investigative)
  • 직업가치관
    • 자율 / 개인지향 / 다양성 / 심신의 안녕 / 타인에 대한 영향
  • 관련직업
    • 화가
    • 조각가
    • 만화가
    • 만화영화작가(애니메이터)
    • 국악인
    • 지휘자
    • 작곡가
    • 연주가
    • 가수
    • 성악가
    • 무용가
    • 안무가
    • 대중무용수

업무활동

  • 업무활동 중요도
    • 자료가 존재하지 않습니다.
  • 업무활동 수준
    • 자료가 존재하지 않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