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무용 전자기기설치·수리원 | 설치·정비·생산직 > 전기·전자 기기 설치·수리원 > 사무용 전자기기설치·수리원

하는 일

교육/자격/훈련

    사무기기설치 및 수리원은 고졸 이상의 학력이면 업무를 수행할 수 있다. 최근에는 전문대졸 출신이 많이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교육기관으로는 특성화 고등학교와 2~3년제 대학의 전기·전자, 컴퓨터, 전산, 통신관련 학과가 있다. 훈련기관에는 가전회사의 사내직업훈련원과 전기·전자 및 컴퓨터관련 직업전문학교가 있으며 민간이 운영하는 학원 등도 있다. 대개 제조회사나 판매회사에서 제공하는 훈련프로그램을 이수하거나 취업한 후 사내 직무훈련을 받고 수리기사로 양성된다. 특성화 고등학교나 대학에 전기·전자, 컴퓨터, 전산관련 학과가 있으나 이론교육 및 자격증 취득을 지향하는 경향이 있어, 실무훈련을 받기 위해 직업훈련원이나 직업전문학교를 거쳐 취업하는 경우가 많다. 사무기기의 경우 과거 아날로그에서 현재는 거의 디지털제품으로 전환되어 컴퓨터, 네트워크, 통신 등에 대한 훈련을 많이 받는다. 이들은 사무기기 제조·판매 회사나 서비스(A/S)센터, 전문수리업체, 중고사무기기수입업체, 재활용품센터에 근무한다. 사무기기설치 및 수리원은 경력이나 근무 연한이 오래되어도 관리자로 승진하는 경우는 드물다. 이들은 보통 소규모 기업체에서 근무한 후 규모가 보다 큰 업체로 이동하는 편이다. 기술과 경험이 쌓이면 개인 수리업체를 창업할 수도 있다. 이들은 채용되어 일하면서도 매년 출시되는 신제품에 대한 기술교육을 정기적으로 받는다.
  • 관련학과
    • 실무종사자들의 설문조사결과자료와 정확히 일치되는 학과정보가 없습니다.
  • 관련자격
    • 전자산업기사, 기사(국가기술)
  • 훈련정보
    • 사무용 전자기기 설치·수리원

임금/직업만족도/전망

  • 임금
    • 하위(25%) 3,108만원, 중위값 3,500만원, 상위(25%) 3,994만원
      위 임금정보는 직업당 평균 30명의 재직자를 대상으로 실시한 설문조사 결과로, 재직자의 자기보고에 근거한 통계치입니다. 재직자의 경력, 근무업체의 규모 등에 따라 실제 임금과 차이가 있을 수 있으니, 직업간 비교를 위한 참고자료로 활용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 직업만족도
    • 65.3%
  • 일자리전망
    • 감소 (54%), 현상유지 (33%), 증가 (13%)
  • 일자리현황
    • 사무용 전자기기설치·수리원

능력/지식/환경

  • 업무수행능력
    • 고장의 발견.수리 / 설치 / 작동 점검 / 기술 설계 / 장비의 유지
  • 지식
    • 통신 / 컴퓨터와 전자공학 / 고객서비스 / 기계 / 영업과 마케팅
  • 업무환경
    • 치열한 경쟁 / 외부 고객 대하기 / 전화 대화하기 / 의사결정 가능성 / 사물, 도구, 조종 장치를 다루기 위해 손사용

성격/흥미/가치관

  • 성격
    • 독립성 / 자기통제 / 스트레스 감내성 / 꼼꼼함 / 사회성
  • 흥미
    • 탐구형(Investigative) / 현실형(Realistic)
  • 직업가치관
    • 다양성 / 개인지향 / 자율 / 이타 / 지적 추구
  • 관련직업
    • 가전제품설치·수리원

업무활동

  • 업무활동 중요도
    • 자료가 존재하지 않습니다.
  • 업무활동 수준
    • 자료가 존재하지 않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