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예사 | 예술·디자인·방송·스포츠직 > 학예사·사서·기록물관리사 > 학예사

하는 일

교육/자격/훈련

    학예사가 되기 위해서는 대학교 또는 대학원에서 고고학, 사학, 미술사학, 예술학, 민속학, 인류학 등을 전공하는 것이 좋다. 박물관이나 미술관의 경우 채용 시 관련 전공자로 응시자를 제한하는 경우도 있으며, 석사이상의 학력을 요구하기도 한다. 미술관에서 근무하는 경우는 동양화, 서양화, 조각, 도예 등 미술 실기를 전공한 사람도 있다. 이밖에 대학의 큐레이터학과, 예술대학원이나 미술대학원의 예술기획전공, 예술경영학과, 박물관학과, 미술관학과, 문화관리학과 등에서도 전문적인 지식을 교육받을 수 있다. 국공립 박물관 및 미술관 큐레이터의 경우 ‘학예연구사’로 입사하여 3∼5년의 경력을 쌓으면 ‘학예연구관’으로 승진할 수 있다. 상당 기간 관련 경험을 쌓아 능력을 인정받으면 독립큐레이터로 활동하기도 한다. 사립 미술관이나 갤러리, 상업화랑의 경우는 학교 추천이나 인맥 위주의 채용이 주로 이루어진다. 이밖에 인턴사원을 공개 채용한 뒤 이들 중에서 정식직원을 채용하기도 한다. 또 공무원 시험을 통해 문화재청이나 지자체 혹은 문화재 관련 연구소 등에 진출할 수 있다.
  • 관련학과
    • 공예학과 , 문화·민속·미술사학과 , 미술학과 , 사진·영상예술학과 , 산업디자인학과 , 언어학과 , 역사·고고학과 , 조형학과 등이 있습니다.
  • 관련자격
    • 박물관및미술관정학예사 1, 2, 3급(국가전문)
    • 박물관및미술관준학예사(국가전문)
  • 훈련정보
    • 학예사 및 문화재 보존원

임금/직업만족도/전망

  • 임금
    • 하위(25%) 3,200만원, 중위값 3,937만원, 상위(25%) 4,500만원
      위 임금정보는 직업당 평균 30명의 재직자를 대상으로 실시한 설문조사 결과로, 재직자의 자기보고에 근거한 통계치입니다. 재직자의 경력, 근무업체의 규모 등에 따라 실제 임금과 차이가 있을 수 있으니, 직업간 비교를 위한 참고자료로 활용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 직업만족도
    • 76.1%
  • 일자리전망
    • 감소 (13%), 현상유지 (57%), 증가 (30%)
  • 일자리현황
    • 학예사

능력/지식/환경

  • 업무수행능력
    • 범주화 / 읽고 이해하기 / 글쓰기 / 듣고 이해하기 / 재정 관리
  • 지식
    • 역사 / 사회와 인류 / 예술 / 지리 / 철학과 신학
  • 업무환경
    • 공문, 문서 주고받기 / 연설, 발표, 회의하기 / 이메일 이용하기 / 전화 대화하기 / 다른 사람과의 상호작용

성격/흥미/가치관

  • 성격
    • 정직성 / 꼼꼼함 / 인내 / 분석적 사고 / 신뢰성
  • 흥미
    • 예술형(Artistic) / 탐구형(Investigative)
  • 직업가치관
    • 지적 추구 / 인정 / 고용안정 / 다양성 / 타인에 대한 영향
  • 관련직업
    • 문화재보존원
    • 사서
    • 기록물관리사

업무활동

  • 업무활동 중요도
    • 자료가 존재하지 않습니다.
  • 업무활동 수준
    • 자료가 존재하지 않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