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행·호텔관리자 | 경영·사무·금융·보험직 > 미용·여행·숙박·음식·경비·청소 관리자 > 여행·호텔관리자

하는 일

교육/자격/훈련

    여행호텔관리자가 되기 위해서는 여행 관련 분야의 업무경험을 갖고 있거나 국내외 여행 경험이 많은 것이 유리하다. 여행 관련 업무를 비롯해 여행지역에 대한 교통이나 지리, 숙박, 문화 등에 대한 정보를 잘 알고 있어야 하며, 여행안내, 여행상품개발, 여행상품기획 등의 업무를 하다가 관리자로 성장하는 경우가 많다. 또한 대학에서 관광(경영학)과, 국제관광(학)과, 호텔경영(학)과 등의 관광 관련 학과를 졸업하면 관광학의 기초이론을 비롯해 여행업, 호텔경영 등 관광산업과 관련된 전반적인 분야를 배울 수 있으며, 이를 실무에 적용할 수 있다. 호텔관리자가 되기 위해서는 호텔에서 오랫동안 근무해 오면서 경력이 축적되어야 한다. 직원들을 관리하고 지시하려면 호텔내에서 이루어지는 일들에 대해서 잘 알고 있어야 한다. 호텔에 입사해 여러가지 업무를 수행하여 다양한 경험을 쌓는게 일반적이다. 외국어 능력도 갖추고 있는 것이 중요하다.
  • 관련학과
    • 식품조리학과 , 호텔·관광경영학과 등이 있습니다.
  • 관련자격
    • 관광통역안내사(이상 한국산업인력공단)
    • 국내여행안내사
    • 국외여행인솔자(문화체육관광부)
    • 호텔경영사(국가전문)
    • 호텔관리사(국가전문)
  • 훈련정보
    • 미용·여행∙숙박·스포츠 관리자

임금/직업만족도/전망

  • 임금
    • 하위(25%) 4,600만원, 중위값 5,491만원, 상위(25%) 7,000만원
      위 임금정보는 직업당 평균 30명의 재직자를 대상으로 실시한 설문조사 결과로, 재직자의 자기보고에 근거한 통계치입니다. 재직자의 경력, 근무업체의 규모 등에 따라 실제 임금과 차이가 있을 수 있으니, 직업간 비교를 위한 참고자료로 활용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 직업만족도
    • 73.5%
  • 일자리전망
    • 감소 (43%), 현상유지 (53%), 증가 (3%)
  • 일자리현황
    • 여행∙호텔관리자

능력/지식/환경

  • 업무수행능력
    • 서비스 지향 / 인적자원 관리 / 물적자원 관리 / 행동조정 / 협상
  • 지식
    • 인사 / 경영 및 행정 / 영업과 마케팅 / 영어 / 고객서비스
  • 업무환경
    • 다른 사람들을 조율하거나 이끌기 / 외부 고객 대하기 / 이메일 이용하기 / 불쾌하거나 무례한 사람 상대 / 이미지/평판/재정에 미치는 영향력

성격/흥미/가치관

  • 성격
    • 리더십 / 사회성 / 스트레스 감내성 / 타인에 대한 배려 / 혁신
  • 흥미
    • 진취형(Enterprising) / 사회형(Social)
  • 직업가치관
    • 성취 / 이타 / 다양성 / 심신의 안녕 / 자율
  • 관련직업
    • 음식서비스관리자
    • 경비·청소관리자

업무활동

  • 업무활동 중요도
    • 자료가 존재하지 않습니다.
  • 업무활동 수준
    • 자료가 존재하지 않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