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경원 | 농림어업직 > 작물재배 종사자 > 조경원

하는 일

교육/자격/훈련

    조경원(원예사 포함)이 되기 위한 일반적인 학력조건은 없다. 다만 숙련공의 보조로 근무하며 경력을 쌓아 숙련공이 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직업전문학교에서 조경관련 분야의 지식과 기술을 배우거나 실업계 고등학교의 조경과, 환경조경과, 자영조경과 등에서 지식과 기술을 배울 수 있다. 조경사로 근무를 하면서 조경기사 등의 자격을 취득하여 설계 및 시공 업무를 하기도 한다. 조경원(원예사 포함)은 일반적으로 현장소장이나 작업반장, 현장 작업원의 인맥을 통해 취업한다. 건설회사의 조경부서, 조경공사업체, 조경식재공사업체, 조경시설물설치공사업체, 조경관리업체, 정원수 및 온실 재배업체 등에서 근무한다. 이외에도 대한주택공사, 한국도로공사, 한국토지공사 등으로 진출할 수 있다. 경력이 어느 정도 쌓이면 작업반장이 될 수 있으며, 계속 경력을 쌓거나 대학교에 진학해 조경기사나 기술사 자격을 취득하면 공사를 관리할 수 있는 위치까지 승진할 수 있다. 이밖에 경영능력과 자금을 갖추면 조경업체 등을 직접 창업할 수 있다.
  • 관련학과
    • 농업학과 , 산림·원예학과 , 조경학과 등이 있습니다.
  • 관련자격
    • 산림기능사, 산업기사, 기사, 기능장, 기술사(국가기술)
    • 임업종묘기능사, 산업기사, 기사(국가기술)
    • 종자기능사, 산업기사, 기사, 기술사(국가기술)
  • 훈련정보
    • 조경원

임금/직업만족도/전망

  • 임금
    • 하위(25%) 3,315만원, 중위값 3,806만원, 상위(25%) 4,426만원
      위 임금정보는 직업당 평균 30명의 재직자를 대상으로 실시한 설문조사 결과로, 재직자의 자기보고에 근거한 통계치입니다. 재직자의 경력, 근무업체의 규모 등에 따라 실제 임금과 차이가 있을 수 있으니, 직업간 비교를 위한 참고자료로 활용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 직업만족도
    • 67.3%
  • 일자리전망
    • 감소 (23%), 현상유지 (37%), 증가 (40%)
  • 일자리현황
    • 조경원

능력/지식/환경

  • 업무수행능력
    • 신체적 강인성 / 유연성 및 균형 / 장비 선정 / 창의력 / 품질관리분석
  • 지식
    • 생물 / 건축 및 설계 / 식품생산 / 운송 / 물리
  • 업무환경
    • 실외 근무 / 움직이는 기계 / 위험한 장비 노출 / 다른 사람과 신체적 접촉 / 몸을 구부리거나 비틀기

성격/흥미/가치관

  • 성격
    • 성취/노력 / 혁신 / 꼼꼼함 / 리더십 / 분석적 사고
  • 흥미
    • 현실형(Realistic) / 예술형(Artistic)
  • 직업가치관
    • 다양성 / 이타 / 고용안정 / 지적 추구 / 심신의 안녕
  • 관련직업
    • 곡식작물재배원
    • 채소·특용작물재배원
    • 과수작물재배원
    • 원예작물재배원

업무활동

  • 업무활동 중요도
    • 자료가 존재하지 않습니다.
  • 업무활동 수준
    • 자료가 존재하지 않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