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자부품·제품생산기계조작원 | 설치·정비·생산직 > 전기·전자 부품·제품 생산기계 조작원  > 전자부품·제품생산기계조작원

하는 일

교육/자격/훈련

    전자부품 및 제품제조기계조작원이 되기 위해서는 고등학교 졸업 정도의 학력이 필요하며 전자관련 전공자가 유리하다. 특성화고등학교나 직업훈련기관에서 자동제어 및 전기·전자, 컴퓨터관련 교육을 받고 관련 자격증을 취득하면 취업 시에 유리하다. 생산설비 중에는 수입장비도 있기 때문에 외국어 독해능력이 있으면 유리하다. 이들은 주로 전자장비 제조업체에서 근무한다.
  • 관련학과
    • 실무종사자들의 설문조사결과자료와 정확히 일치되는 학과정보가 없습니다.
  • 관련자격
    • MCSE(외국)
    • 전기기능사, 산업기사, 기사(국가기술)
    • 전자산업기사, 기사(국가기술)
  • 훈련정보
    • 전자 부품·제품 생산기계 조작원

임금/직업만족도/전망

  • 임금
    • 하위(25%) 3,000만원, 중위값 3,358만원, 상위(25%) 4,000만원
      위 임금정보는 직업당 평균 30명의 재직자를 대상으로 실시한 설문조사 결과로, 재직자의 자기보고에 근거한 통계치입니다. 재직자의 경력, 근무업체의 규모 등에 따라 실제 임금과 차이가 있을 수 있으니, 직업간 비교를 위한 참고자료로 활용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 직업만족도
    • 66%
  • 일자리전망
    • 감소 (38%), 현상유지 (32%), 증가 (29%)
  • 일자리현황
    • 전자부품·제품생산기계조작원

능력/지식/환경

  • 업무수행능력
    • 작동 점검 / 조작 및 통제 / 고장의 발견.수리 / 설치 / 장비의 유지
  • 지식
    • 기계 / 컴퓨터와 전자공학 / 상품 제조 및 공정 / 공학과 기술 / 물리
  • 업무환경
    • 위험한 장비 노출 / 보호장비 착용 / 자동화 정도 / 위험한 상태 노출 / 움직이는 기계

성격/흥미/가치관

  • 성격
    • 독립성 / 혁신 / 자기통제 / 꼼꼼함 / 성취/노력
  • 흥미
    • 진취형(Enterprising) / 관습형(Conventional)
  • 직업가치관
    • 고용안정 / 경제적 보상 / 이타 / 타인에 대한 영향 / 심신의 안녕
  • 관련직업
    • 전기부품·제품생산기계조작원

업무활동

  • 업무활동 중요도
    • 자료가 존재하지 않습니다.
  • 업무활동 수준
    • 자료가 존재하지 않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