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선전기공 | 설치·정비·생산직 > 전기공 > 내선전기공

하는 일

교육/자격/훈련

    내선전기공이 되는 데 특별한 학력제한은 없지만, 전기회로나 배선도면을 이해해야 하기 때문에 고등학교 이상의 학력수준이 필요하다. 실제 내선전기공들 대부분은 특성화고등학교 졸업자이거나 공공 및 민간 직업훈련기관의 전기 관련과를 졸업한 경우가 많다. 요즘은 2~3년제 대학 이상의 학력으로 전공이 되는 사람도 증가하고 있다. 전력 및 전기 시설이 점점 대용량화·고속화하고 있기 때문에 늘 새로운 기술을 습득하여야 하며 전기에 관한 이론적 지식과 함께 현장 실무 경험이 반드시 필요하다. 작업 중에 여러 색상의 전선을 구별해야 할 때가 많으므로 색맹이면 업무수행이 어렵다.
  • 관련학과
    • 전기공학과 등이 있습니다.
  • 관련자격
    • 전기공사산업기사, 기사(국가기술)
    • 전기기능사, 산업기사, 기사, 기능장(국가기술)
  • 훈련정보
    • 내선 전기공

임금/직업만족도/전망

  • 임금
    • 하위(25%) 3,550만원, 중위값 3,885만원, 상위(25%) 4,326만원
      위 임금정보는 직업당 평균 30명의 재직자를 대상으로 실시한 설문조사 결과로, 재직자의 자기보고에 근거한 통계치입니다. 재직자의 경력, 근무업체의 규모 등에 따라 실제 임금과 차이가 있을 수 있으니, 직업간 비교를 위한 참고자료로 활용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 직업만족도
    • 65.6%
  • 일자리전망
    • 감소 (27%), 현상유지 (52%), 증가 (20%)
  • 일자리현황
    • 내선전기공

능력/지식/환경

  • 업무수행능력
    • 설치 / 고장의 발견.수리 / 정교한 동작 / 작동 점검 / 장비의 유지
  • 지식
    • 건축 및 설계 / 물리 / 기계 / 공학과 기술 / 안전과 보안
  • 업무환경
    • 실수의 심각성 / 보호장비 착용 / 사물, 도구, 조종 장치를 다루기 위해 손사용 / 고지대 작업 / 건강 및 안전에 대한 책임

성격/흥미/가치관

  • 성격
    • 꼼꼼함 / 인내 / 스트레스 감내성 / 협조 / 성취/노력
  • 흥미
    • 현실형(Realistic) / 탐구형(Investigative)
  • 직업가치관
    • 자율 / 애국 / 지적 추구 / 경제적 보상 / 개인지향
  • 관련직업
    • 산업전기공
    • 외선전기공

업무활동

  • 업무활동 중요도
    • 자료가 존재하지 않습니다.
  • 업무활동 수준
    • 자료가 존재하지 않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