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례지도사 및 장례상담원 | 미용·여행·숙박·음식·경비·청소직 > 결혼·장례 등 예식 서비스원 > 장례지도사 및 장례상담원

하는 일

교육/자격/훈련

    최근 장례문화의 발달로 각종 장례행정절차나 시신위생처리 등의 전문지식과 기술을 체계적으로 교육할 필요성이 커지면서 전문대학 및 대학교에 장례지도 관련 학과가 개설되었다. 이에 따라 젊은 층을 중심으로 대학에서 전문적인 교육을 받고 장례지도사로 진출하는 사람이 늘고 있다. 이외에도 평생교육원 등 사설교육기관에 개설된 장례지도과정을 수강하거나 4~5년 정도 장례 관련 실무경험을 쌓은 후에 장례지도사로 진출하기도 한다. 장례지도사로 근무하기 위해서는 경력 및 현장경험이 무엇보다도 중요하며, 일반적으로 입사 후 3~6개월간의 수습기간을 거치게 된다.
  • 관련학과
    • 실무종사자들의 설문조사결과자료와 정확히 일치되는 학과정보가 없습니다.
  • 관련자격
    • 장례지도사(국가전문)
  • 훈련정보
    • 장례 지도사 및 장례 상담원

임금/직업만족도/전망

  • 임금
    • 하위(25%) 3,050만원, 중위값 3,315만원, 상위(25%) 3,833만원
      위 임금정보는 직업당 평균 30명의 재직자를 대상으로 실시한 설문조사 결과로, 재직자의 자기보고에 근거한 통계치입니다. 재직자의 경력, 근무업체의 규모 등에 따라 실제 임금과 차이가 있을 수 있으니, 직업간 비교를 위한 참고자료로 활용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 직업만족도
    • 64.3%
  • 일자리전망
    • 감소 (7%), 현상유지 (70%), 증가 (23%)
  • 일자리현황
    • 장례지도사 및 장례상담원

능력/지식/환경

  • 업무수행능력
    • 서비스 지향 / 사람 파악 / 신체적 강인성 / 말하기 / 행동조정
  • 지식
    • 철학과 신학 / 생물 / 고객서비스 / 심리 / 의료
  • 업무환경
    • 질병 혹은 감염 위험 노출 / 실수의 심각성 / 주말 및 공휴일 근무 / 걷거나 뛰기 / 불쾌하거나 무례한 사람 상대

성격/흥미/가치관

  • 성격
    • 스트레스 감내성 / 타인에 대한 배려 / 자기통제 / 꼼꼼함 / 신뢰성
  • 흥미
    • 진취형(Enterprising) / 사회형(Social)
  • 직업가치관
    • 이타 / 애국 / 심신의 안녕 / 자율 / 고용안정
  • 관련직업
    • 웨딩플래너
    • 혼례종사원

업무활동

  • 업무활동 중요도
    • 자료가 존재하지 않습니다.
  • 업무활동 수준
    • 자료가 존재하지 않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