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용사 | 미용·여행·숙박·음식·경비·청소직 > 미용 서비스원 > 미용사

하는 일

교육/자격/훈련

    미용사가 되기 위해서는 미용 관련 고등학교, 특성화고등학교, 대학의 미용 관련 학과에서 관련 기술을 배울 수 있으며, 직업전문학교, 평생교육원, 사설학원 등을 통해서도 미용헤어 기술의 이론 및 실기를 배울 수 있다. 미용사로 종사하기 위해서는 공중위생법상 미용사 자격을 취득해야 하므로 관련 기술과 이론을 배우고 자격증을 취득하는 것이 필요하다. 새로운 미용기술이 계속 개발되고 있고 헤어스타일은 유행에 민감한 분야이기 때문에 미용사로 근무하면서 재교육을 받는 사람도 많은 편이다. 2014년부터 미용사 자격증 검정은 한국기술자격검정원에서 담당하게 되었으며 미용사 일반과 피부관리로 분류된다. 미용사(일반)의 경우 응시자격에 따로 제한을 두지 않으며, 이론시험에서 미용이론, 공중보건학, 소독학, 피부학, 공중위생법규를 다루며, 실기시험에서는 미용실무에 관한 내용을 다룬다.
  • 관련학과
    • 뷰티아트과 등이 있습니다.
  • 관련자격
    • 미용사[일반](국가기술)
    • 미용장(국가기술)
  • 훈련정보
    • 미용사

임금/직업만족도/전망

  • 임금
    • 하위(25%) 2,799만원, 중위값 3,500만원, 상위(25%) 4,144만원
      위 임금정보는 직업당 평균 30명의 재직자를 대상으로 실시한 설문조사 결과로, 재직자의 자기보고에 근거한 통계치입니다. 재직자의 경력, 근무업체의 규모 등에 따라 실제 임금과 차이가 있을 수 있으니, 직업간 비교를 위한 참고자료로 활용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 직업만족도
    • 69.6%
  • 일자리전망
    • 감소 (0%), 현상유지 (33%), 증가 (67%)
  • 일자리현황
    • 미용사

능력/지식/환경

  • 업무수행능력
    • 서비스 지향 / 창의력 / 정교한 동작 / 물적자원 관리 / 사람 파악
  • 지식
    • 인사 / 고객서비스 / 영업과 마케팅 / 심리 / 예술
  • 업무환경
    • 주말 및 공휴일 근무 / 서서 근무 / 몸을 구부리거나 비틀기 / 치열한 경쟁 / 경미한 화상, 자상, 찔림 등 노출

성격/흥미/가치관

  • 성격
    • 적응성/융통성 / 타인에 대한 배려 / 성취/노력 / 혁신 / 자기통제
  • 흥미
    • 예술형(Artistic) / 현실형(Realistic)
  • 직업가치관
    • 이타 / 자율 / 고용안정 / 심신의 안녕 / 인정
  • 관련직업
    • 이용사
    • 피부 및 체형관리사
    • 네일아티스트
    • 메이크업아티스트
    • 분장사
    • 반려동물미용사
    • 수의사보조원

업무활동

  • 업무활동 중요도
    • 자료가 존재하지 않습니다.
  • 업무활동 수준
    • 자료가 존재하지 않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