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포츠강사 | 예술·디자인·방송·스포츠직 > 스포츠·레크리에이션 종사자 > 스포츠강사

하는 일

교육/자격/훈련

    스포츠강사가 되기 위해서는 해당 종목의 실기와 이론에 대한 충분한 지식을 갖추는 것이 필요하다. 이를 위해선. 전문대학이나 대학교에서 해당 종목의 관련 학과나 사회체육학과, 생활체육학과 등 체육 관련 학과를 졸업하는 것이 유리하며 해당종목의 운동선수나 코치로서의 경험이 있는 사람도 입직에 유리하다. 관련자격으로는 국민체육진흥공단에서 시행하는 국가자격인 생활스포츠지도사, 유소년스포츠지도사, 노인스포츠지도사, 장애인스포츠지도사 등이 있다.
  • 관련학과
    • 경호학과 , 무용학과 , 예체능교육과 , 체육학과 등이 있습니다.
  • 관련자격
    • 노인스포츠지도사(국가전문)
    • 생활스포츠지도사 1, 2급(국가전문)
    • 생활체육지도사 1, 2, 3급(국가전문)
    • 유소년 스포츠지도사(국가전문)
    • 장애인스포츠지도사 1, 2급(국가전문)
  • 훈련정보
    • 스포츠강사, 레크리에이션강사 및 기타 관련 전문가

임금/직업만족도/전망

  • 임금
    • 하위(25%) 2,800만원, 중위값 3,104만원, 상위(25%) 3,600만원
      위 임금정보는 직업당 평균 30명의 재직자를 대상으로 실시한 설문조사 결과로, 재직자의 자기보고에 근거한 통계치입니다. 재직자의 경력, 근무업체의 규모 등에 따라 실제 임금과 차이가 있을 수 있으니, 직업간 비교를 위한 참고자료로 활용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 직업만족도
    • 66.4%
  • 일자리전망
    • 감소 (3%), 현상유지 (47%), 증가 (50%)
  • 일자리현황
    • 스포츠강사

능력/지식/환경

  • 업무수행능력
    • 가르치기 / 학습전략 / 유연성 및 균형 / 서비스 지향 / 사람 파악
  • 지식
    • 교육 및 훈련 / 상담 / 고객서비스 / 의료 / 예술
  • 업무환경
    • 균형을 유지하기 / 다른 사람과 신체적 접촉 / 걷거나 뛰기 / 몸을 구부리거나 비틀기 / 이미지/평판/재정에 미치는 강도

성격/흥미/가치관

  • 성격
    • 혁신 / 리더십 / 타인에 대한 배려 / 독립성 / 협조
  • 흥미
    • 예술형(Artistic) / 사회형(Social)
  • 직업가치관
    • 타인에 대한 영향 / 성취 / 자율 / 심신의 안녕 / 이타
  • 관련직업
    • 스포츠감독 및 코치
    • 직업운동선수
    • 프로게이머
    • 경기심판
    • 스포츠트레이너
    • 레크리에이션전문가

업무활동

  • 업무활동 중요도
    • 자료가 존재하지 않습니다.
  • 업무활동 수준
    • 자료가 존재하지 않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