약사 | 보건·의료직 > 약사 및 한약사 > 약사

하는 일

교육/자격/훈련

    약사가 되기 위해서는 대학의 약학과를 졸업하고 보건의료인 국가시험원의 약사면허시험에 합격해야 한다. 약학과는 4년제 대학이나 고등학교 졸업 후에 바로 입학할 수 있는 것이 아니다. 학부 또는 학과에 입학하여 2년 이상 기초 교육과정을 마쳐야 하기 때문에 대학에서 6년 이상(2+4년) 공부해야 한다. 약학과에 입학하기 위해서 대학의 학부에서 2년간 일반화학, 생물학, 물리학, 유기화학 등의 약학과 관련된 선수과목을 이수해야 하며, 이후 우수한 평점, 외국어 능력 등 대학별로 요구하는 지원 자격을 갖춰야만 약학대학입문시험(PEET:Pharmacy Education Eligibility Test)에 응시할 수 있다. 2016년 기준으로 약학을 배울 수 있는 35개의 약학대학이 있다. 2017년 1월에 시행된 약사시험에 1,996명이 응시하여 1,868명(93.6%)가 합격하였다.
  • 관련학과
    • 약학과 등이 있습니다.
  • 관련자격
    • 약사(국가전문)
  • 훈련정보
    • 약사 및 한약사

임금/직업만족도/전망

  • 임금
    • 하위(25%) 4,662만원, 중위값 6,500만원, 상위(25%) 7,459만원
      위 임금정보는 직업당 평균 30명의 재직자를 대상으로 실시한 설문조사 결과로, 재직자의 자기보고에 근거한 통계치입니다. 재직자의 경력, 근무업체의 규모 등에 따라 실제 임금과 차이가 있을 수 있으니, 직업간 비교를 위한 참고자료로 활용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 직업만족도
    • 76.1%
  • 일자리전망
    • 감소 (20%), 현상유지 (43%), 증가 (36%)
  • 일자리현황
    • 약사

능력/지식/환경

  • 업무수행능력
    • 사람 파악 / 읽고 이해하기 / 서비스 지향 / 듣고 이해하기 / 재정 관리
  • 지식
    • 의료 / 화학 / 생물 / 상담 / 고객서비스
  • 업무환경
    • 의사결정 가능성 / 실수의 심각성 / 의사결정 권한 / 외부 고객 대하기 / 주말 및 공휴일 근무

성격/흥미/가치관

  • 성격
    • 꼼꼼함 / 정직성 / 성취/노력 / 책임과 진취성 / 타인에 대한 배려
  • 흥미
    • 사회형(Social) / 관습형(Conventional)
  • 직업가치관
    • 경제적 보상 / 자율 / 개인지향 / 고용안정 / 이타
  • 관련직업
    • 한약사

업무활동

  • 업무활동 중요도
    • 자료가 존재하지 않습니다.
  • 업무활동 수준
    • 자료가 존재하지 않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