투자분석가 | 경영·사무·금융·보험직 > 금융·보험 전문가 > 투자분석가

하는 일

교육/자격/훈련

    투자분석가가 되기 위해서는 대학에서 경영이나 경제, 회계, 통계, 금융 등의 관련 학과를 전공하면 유리하다. 구체적으로 재무관리, 투자론, 파생상품론, 재무제표 분석론, 회계학, 통계학, 경제학, 국제경제학 등의 전문 지식을 갖추고 있으면 업무에 도움이 되며, 일부 금융기관에서는 경영, 경제 분야의 석사 이상 학위를 요구하는 곳도 있다. 또한 최근 들어 산업별 분석에 정보통신, 생명공학 등 이공계열 전문지식도 요구되고 있어서 이들 전공자도 진출하고 있다. 이공계열 전공자의 경우 대학원에서 경영, 경제 등의 분야를 함께 전공하여 업무에 필요한 재무, 회계, 경제적 지식을 보완하기도 한다. 투자분석 업무를 수행하기 위해서는 자신이 담당하는 업종에 대한 해박한 이해가 필수적이므로 해당 업계에서 오랜 경력을 쌓은 후 투자분석가로 입문하는 경우도 있다. 투자분석가가 되기 위해서는 평소 국내외 경제관련 기사와 증권사 기업분석리포트를 꾸준히 읽어두는 것이 도움이 된다. 최근에는 영문분석자료 작성이나 영어 프레젠테이션이 증가하고 있어 외국어 실력을 갖추고 있다면 업무에 유리하다.
  • 관련학과
    • 경영학과 , 경제학과 , 금융·보험학과 , 세무·회계학과 등이 있습니다.
  • 관련자격
    • CIIA[국제공인증권분석사](외국)
    • CRA[신용위험분석사](국가공인 민간)
    • 신용분석사(국가공인 민간)
    • 신용위험분석사(국가공인 민간)
  • 훈련정보
    • 투자·신용 분석가

임금/직업만족도/전망

  • 임금
    • 하위(25%) 5,180만원, 중위값 6,216만원, 상위(25%) 7,511만원
      위 임금정보는 직업당 평균 30명의 재직자를 대상으로 실시한 설문조사 결과로, 재직자의 자기보고에 근거한 통계치입니다. 재직자의 경력, 근무업체의 규모 등에 따라 실제 임금과 차이가 있을 수 있으니, 직업간 비교를 위한 참고자료로 활용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 직업만족도
    • 77.3%
  • 일자리전망
    • 감소 (36%), 현상유지 (50%), 증가 (13%)
  • 일자리현황
    • 투자분석가

능력/지식/환경

  • 업무수행능력
    • 수리력 / 판단과 의사결정 / 선택적 집중력 / 논리적 분석 / 공간지각력
  • 지식
    • 경제와 회계 / 경영 및 행정 / 산수와 수학 / 영업과 마케팅 / 사무
  • 업무환경
    • 치열한 경쟁 / 자동화 정도 / 연설, 발표, 회의하기 / 이미지/평판/재정에 미치는 영향력 / 이미지/평판/재정에 미치는 강도

성격/흥미/가치관

  • 성격
    • 성취/노력 / 인내 / 독립성 / 리더십 / 혁신
  • 흥미
    • 진취형(Enterprising) / 탐구형(Investigative)
  • 직업가치관
    • 성취 / 고용안정 / 이타 / 애국 / 다양성
  • 관련직업
    • 신용분석가
    • 자산운용가
    • 보험상품개발자
    • 금융상품개발자
    • 증권딜러
    • 손해사정사

업무활동

  • 업무활동 중요도
    • 자료가 존재하지 않습니다.
  • 업무활동 수준
    • 자료가 존재하지 않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