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적자원전문가 | 경영·사무·금융·보험직 > 경영·인사 전문가 > 인적자원전문가

하는 일

교육/자격/훈련

    인적자원컨설턴트가 되기 위해서는 대학 또는 대학원에서 경영, 경제, 또는 노사관계, 법학 등의 사회과학을 전공하면 유리하다. 일반적으로 인적자원 관련 컨설팅업체에서 일을 하거나 대기업, 혹은 공공기관에서 종사한다. 기업체의 경우 공채를 통해 채용하는 반면, 컨설팅업체에서의 채용은 최근들어 공채보다는 경력자 중심 또는 추천에 의해 수시채용하는 추세이다. 개인에 따라서는 채용 및 배치, 노사 관계, 재교육, 상담, 직무분석이나 보상과 같은 특정영역으로 전문화될 수 있다.
  • 관련학과
    • 교육학과 등이 있습니다.
  • 관련자격
    • 경영지도사[인적자원관리](국가전문)
  • 훈련정보
    • 인사·노무 전문가

임금/직업만족도/전망

  • 임금
    • 하위(25%) 2,901만원, 중위값 3,511만원, 상위(25%) 5,190만원
      위 임금정보는 직업당 평균 30명의 재직자를 대상으로 실시한 설문조사 결과로, 재직자의 자기보고에 근거한 통계치입니다. 재직자의 경력, 근무업체의 규모 등에 따라 실제 임금과 차이가 있을 수 있으니, 직업간 비교를 위한 참고자료로 활용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 직업만족도
    • 73%
  • 일자리전망
    • 감소 (13%), 현상유지 (30%), 증가 (57%)
  • 일자리현황
    • 인적자원전문가

능력/지식/환경

  • 업무수행능력
    • 인적자원 관리 / 협상 / 사람 파악 / 서비스 지향 / 설득
  • 지식
    • 인사 / 상담 / 사회와 인류 / 심리 / 교육 및 훈련
  • 업무환경
    • 다른 사람들을 조율하거나 이끌기 / 이메일 이용하기 / 연설, 발표, 회의하기 / 전화 대화하기 / 공문, 문서 주고받기

성격/흥미/가치관

  • 성격
    • 타인에 대한 배려 / 적응성/융통성 / 사회성 / 리더십 / 신뢰성
  • 흥미
    • 사회형(Social) / 진취형(Enterprising)
  • 직업가치관
    • 타인에 대한 영향 / 이타 / 다양성 / 성취 / 자율
  • 관련직업
    • 경영·진단전문가
    • 노무사

업무활동

  • 업무활동 중요도
    • 자료가 존재하지 않습니다.
  • 업무활동 수준
    • 자료가 존재하지 않습니다.